전체 글 94

한나 아렌트

아렌트는 독재 정권의 폐해를 직접 체험한 '전체주의' 분석을 통해 독일 나치즘과 소련 스탈린주의라는 양대 역사적 현상 '전체주의'로 규정하고, 지금까지도 존재하지 않았던 새로운 국가 형식이라고 분석했다. 계급사회가 해체되고 대중사회가 도래한 부분에서 찾았다. 대중사회란 사회에 무관심한 사람들의 집합체를 이르는데, 대중사회 이전의 계급사회에서는 의견이 팽팽하게 대립하고 긴장된 의견 대립으로 민주주의가 유지될 수 있었다. 한나 아렌트는 독일 출신의 홀로코스트 생존자이자 작가, 정치 이론가이다. 아렌트는 전체주의가 단순히 정치적 적수가 아닌 대중을 제압하기 위해 테러를 가했다는 점에서 "폭정, 압제, 독재와 같은 다른 형태의 정치적 억압으로부터 근본적으로 분리된다"고 주장했다. 아렌트는 칸트의 구절인 "악의 ..

인문학 2022.07.19

마이클 샌델

공동체주의자들은 1980년대 미국에서 가장 시선을 끌었던 자유주의 이론을 비판하면서 '자유주의-공동체주의 논쟁'을 이끌었다. 이 논쟁을 주도한 인물은 미국의 정치철학자인 마이클 샌델이다. 그는 현재 미국 예술 및 과학 아카데미의 특별 연구원으로 선출되어 활동하고 있으며, 미국 하버드 대학교수로 재임 중이다. 그는 온라인 수강이 가능한 하버드 교육 강의 'Justice'로 익히 알려진 바 있으며, 존 롤스(John Rawls)의 정의론(A Theory of Justice)’을 비판한 ‘자유주의와 정의의 한계(Liberalism and the Limits of Justice)’(1982년)를 발표하면서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오늘날 대표적인 공동체주의자, 공화주의자이며 자유주의에 대한 비판자로 유명하다. ..

인문학 2022.07.18

모리스 메를로퐁티

모리스 메를로퐁티의 '신체론'이 있다. 메를로퐁티는 인간의 몸을 현상학적으로 연구함으로써 데카르트가 주장한 정신과 물질의 이원론을 극복하고자 했다. 자기 신체가 경험하는 바는 물질도 정신도 아닌, '애매한 존재 방식'이라는 것이다. 프랑스 철학자인 메를로퐁티는 장 폴 사르트르와 함께 프랑스 현대 철학의 양대 산맥으로, 현상학과 실존주의에 천착하였고 행동의 구조, 지각의 현상학, 의미와 무의미,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등의 저서를 남겼다. 그는 파리의 리 세 루이르그랑에서 중등 교육을 마치고, 장 폴 사르트르와 같은 시기 파리 고등사범학교 학생이 되어, 1930년 철학 교수 자격시험을 차석으로 합격했다. 메를로퐁티는 잡지 [현대]가 창간된 1945년 10월부터 장 폴 사르트르와 결별한 1952년 12..

인문학 2022.07.15

앙리 베르그송

프랑스 철학자인 앙리 베르그송이 주장한 시간이란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직관적인 개념이다. 우리는 숫자를 더하듯이 시간을 단편적으로 인식한다. 베르그송 분할된 시간 개념은 공간 개념에 익숙한 사람들이 시간을 공간적으로 파악하려는 데 그 원인이 있다고 말한다. 1859년 10월 18일 파리에서 폴란드계 유대인 아버지와 영국 국적의 아일랜드계 유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베르그송은 어린 시절부터 학업에 뛰어난 자질을 보였는데, 전국 학력 경시대회에서 라틴어, 영어, 기하학, 그리스어, 불 작문, 수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상을 휩쓸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베르그송이 1877년 전국학력 경시대회의 수학 부문에 제출한 답안은 수학 연보에 소개되기도 했다. 1878년에는 파리 고등사범학교에 입학..

인문학 2022.07.14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독일의 철학자이자 독일 관념론을 완성한 것으로 평가받는 프로이센의 철학자이다. 게오르크 헤겔이 주장한 '변증법'을 통해 중심 개념인 변증법의 기원은 고대 그리스 시대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질문을 되풀이함으로써 상대방의 주장에서 논리적인 모순을 찾아내는 대화의 기술에 불과하다. 변증법은 생산적인 사고법으로 승화했고, 오늘날 변증법이라고 하면 일반적으로 헤겔의 변증법을 지칭한다. 변증법은 만물이 본질적으로 끊임없는 변화 과정에 있음을 주창하면서 그 변화의 원인을 내부적인 자기부정, 즉 모순에 있다고 보았다. 원래의 상태를 정(正)이라 하면 모순에 의한 자기부정은 반(反)이다. 만물은 이 모순을 해결하는 방향으로 운동하며 그 결과 새로운 합(合)의 상태로 변화한다. 정반합(正反合)의 개념으로 변증법을 정형화하..

인문학 2022.07.12

데이비드 흄

스코틀랜드 출신의 철학자이자 경제학자이며 역사가이다. 서양철학과 스코틀랜드 계몽주의에 관련된 인물 중 손꼽히는 인물이다. 흄은 자신의 저서 [인성론]에서 '이성은 정념의 노예'라고 표현했다. 인간의 정념, 정념의 사전적인 의미는 '감정에 따라 일어나는, 억누르기 어려운 생각'이다. 데이비드 흄은 1711년 4월 26일 북쪽에 위치한 천 사이드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 존 흄은 변호사였다. 그는 1734년 성을 Home(Hume으로 발음)에서 Hume으로 개칭했는데 이는 Home의 잉글랜드 발음이 스코틀랜드와 달랐기 때문이다. 그는 평생 독신으로 지냈다. 정념의 종류를 구분하면 직접 정념과 간접 정념이 있다. 간접 정념은 쾌와 불쾌에 다른 성질이 곁들여져서 나타나는 것이고, 쾌와 불쾌에서 생겨나는 직접 ..

인문학 2022.07.10

조지 버클리

아일랜드의 철학자이자 성공회 주교, 성직자인 조지 버클리는 지각에 좀 더 심오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그는 지각 자체가 사물의 존재를 보장한다고 강조했다. 버클리는 '존재는 지각됨이다.'라고 주장하며 '지각의 일원론'을 강조했다. 기본적으로 그 이론은 물질적인 것은 없고, 오직 정신적인 사건과 그것을 지각하는 사고방식이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인간이 세상을 어떻게 지각하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끝에 1709년 발표한 [새로운 시각 이론에 관한 시론]으로 처음 주목받았다. 당시에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오늘날 그의 결론은 기초적 광학 이론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734년, 그는 이후 수학 발전에 영향력을 크게 끼쳤던, 과학의 기초에 대한 비평인 [The Analyst]를 출판했다. ..

인문학 2022.07.08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라이프니츠가 독특한 이론을 내놓았다. 세상의 모든 요소를 아우르는 기본단위를 고안했는데, 이것이 바로 '모나드'이다 우리말로는 '단자'라고 불리는 개념으로 라이프니츠는 모나드를 통해 우주의 조화를 논했다.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는 독일의 수학자이자 철학자이다. 철학에서 라이프니츠는 낙관론으로 유명하다. 라이프니츠는 일부 제한적인 의미에서, 우리가 사는 우주가 신이 창조할 수 있는 최선의 우주라고 결론지었다. 라이프니츠는 르네 데카르트, 바뤼흐 스피노자와 함께 17세기 최고의 3대 합리 주의론자 중 한 명이다. 라이프니츠의 업적은 현대 분석철학을 앞당겼지만, 한편으로 그의 철학은 스콜라 철학적인 면도 있다. 그의 철학의 특징은 그 이전의 여러 가지 사상적 대립을 모두 자기 것으로 받아들여서 조화시킨 ..

인문학 2022.07.06

바뤼흐 스피노자

스피노자는 데카르트의 사상을 계승한 대륙 합리론의 주요 철학자 가운데 한 사람이다. 인간의 이성을 중시하며 이성을 통해 세계를 이해하려고 했다. 신에 대해 설명할 때도 이성을 도입했는데 여기에서 그의 핵심 사상인 '실체론'이 등장한다. 바뤼흐 스피노자는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에서 태어난 포르투갈계 유대인 혈통의 철학자이다. 오늘날 스피노자는 18세기 계몽주의와 근대 성서 비판의 토대를 놓은 유럽 17세기 철학의 합리주의자 세 거두 가운데 한 사람으로 인정받는다. 대작 에티카에서 스피노자는 데카르트의 정초주의를 부분적으로 받아들였으나, 정신-육체 이원론에는 반대하였으며 서양 철학에서 중요한 철학자로 손꼽힌다. 스피노자가 쓴 저작의 과학적 태도와 포괄성, 철학사적 중요성은 스피노자 사후 오랜 세월 동안 제대로 ..

인문학 2022.07.05

르네 데카르트 2

르네 데카르트는 자신의 철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라틴어로 철학 원리를 출판한다. 그 후 그는 여러 사람과 편지로 자기 생각을 전하곤 했는데, 보헤미아의 왕 프리드리히의 딸 팔츠의 엘리자베스에게 최고선에 관한 자기 생각들을 편지로 보낸 것들이 모여 1649년 출판된 그의 마지막 책, [정념론]이 된다. 1650년 2월 11일, 그는 폐렴에 걸려 54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르네 데카르트의 가장 큰 업적 중 하나는 해석기하학의 창시이다. 특히 그가 고안한 직교좌표계는 이전까지 독립적으로 다루어졌던 대 수론과 기하학을 체계적으로 융합시켜 자신 이후의 뉴턴역학을 비롯한 근대 수학과 과학의 발전에 바탕이 되었다. 데카르트의 직교좌표계는 당시까지 지배적이었던 유클리드의 기하학적 공간을 대체하였고, 이는 아인슈..

인문학 2022.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