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조지 버클리

laura-tiki 2022. 7. 8. 22:12

아일랜드의 철학자이자 성공회 주교, 성직자인 조지 버클리는 지각에 좀 더 심오한 의미가 있다고 보았다. 그는 지각 자체가 사물의 존재를 보장한다고 강조했다.

 

 

 

 

 

 

 

 

 

 

 

 

 

 

 

 

 

 

 

 

 

 

 

 

 

 

 

 

 

 

 

 

 

 

 

 

 

 

 

 

 

 

 

 

 

 

 

 

 

 

 

 

 

 

 

 

 

 

 

버클리는 '존재는 지각됨이다.'라고 주장하며 '지각의 일원론'을 강조했다. 기본적으로 그 이론은 물질적인 것은 없고, 오직 정신적인 사건과 그것을 지각하는 사고방식이 있을 뿐이라는 것이다.

 

 

 

 

 

 

 

 

 

 

 

 

 

 

 

 

 

 

 

 

 

 

 

 

 

 

 

 

 

 

 

 

 

 

 

 

 

 

 

 

 

 

 

 

 

 

 

 

 

 

 

 

 

 

 

 

 

 

 

 

 

 

 

 

 

 

 

 

 

 

 

 

 

 

 

 

 

 

 

 

 

 

 

 

 

 

 

 

인간이 세상을 어떻게 지각하는지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한 끝에 1709년 발표한 [새로운 시각 이론에 관한 시론]으로 처음 주목받았다. 당시에는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지만, 오늘날 그의 결론은 기초적 광학 이론의 일부분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1734년, 그는 이후 수학 발전에 영향력을 크게 끼쳤던, 과학의 기초에 대한 비평인 [The Analyst]를 출판했다.

 

 

 

 

 

 

 

 

 

 

 

 

 

 

 

 

 

 

 

 

 

 

 

 

 

 

 

 

 

 

 

 

 

 

 

 

 

 

 

 

 

 

 

 

 

 

 

 

 

 

 

 

 

 

 

 

 

 

 

 

 

 

 

 

 

 

 

 

 

 

 

 

 

 

 

 

 

 

 

 

 

 

 

 

 

 

 

 

 

 

 

 

 

 

 

 

 

버클리의 철학은 우리가 지각하는 것만이 실체이며, 지각하지 못하는 것의 실체는 없다는, "존재하는 것은 지각되는 것이다"라는 명제로 요약될 수 있는 극단적인 경험론에 속한다. 대학교에서 교양과목으로 철학을 가르치는 철학자들은 경험론 철학자 중 한 분으로 조지 버클리 주교를 소개하고 있다.

 

 

 

 

 

 

 

 

 

 

 

 

 

 

 

 

 

 

 

 

 

 

 

 

 

 

 

 

 

 

 

 

 

 

 

 

 

 

 

 

 

 

 

 

 

 

 

 

 

 

 

 

 

 

 

 

 

 

 

 

 

 

 

 

 

 

 

 

 

 

 

 

 

 

 

 

 

 

 

 

 

 

 

 

 

 

 

 

 

 

 

 

 

 

 

 

 

 

 

 

 

 

 

 

 

 

 

 

 

 

 

 

 

 

 

 

 

 

 

 

 

 

 

 

 

 

 

 

 

 

 

 

 

 

 

 

 

 

 

 

 

 

 

 

 

 

 

 

 

 

 

 

 

 

 

 

 

 

 

지각이 곧 존재가 된다는 버클리의 주장에 따르면, 자신이 실제 지각하지 못할 때는 사물이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모순에 빠지고 만다. 버클리에 따르면 자신이 직접 데굴데굴 구르는 눈사람의 모습을 확인하기 전에는 눈사람이 존재하는지 확실히 알 수 없다.

 

 

 

 

 

 

 

 

 

 

 

 

 

 

 

 

 

 

 

 

 

 

 

 

 

 

 

 

 

 

 

 

 

 

 

 

 

 

 

 

 

 

 

 

 

 

 

 

 

 

 

 

 

 

 

 

 

 

 

 

 

 

 

 

 

 

 

 

 

 

 

 

 

 

 

 

 

 

 

 

 

 

 

신이 만물을 지각하고 있기 때문에 누군가가 보고 있지 않아도 사물은 존재한다는 것이다. 성직자인 버클리가 충분히 내세울 만한 주장이다. 그는 자신의 철학 체계를 제의했는데, 그 체계를 이루는 핵심적인 원리는 '우리의 감각이 재현하는 세계가 지각되는 그것의 존재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이 이론의 '원리'는 설명과 '대화'의 답변을 제공한다.

 

 

 

 

 

 

 

 

 

 

 

 

 

 

 

 

 

 

 

 

 

 

 

 

 

 

 

 

 

 

 

 

 

 

 

 

 

 

 

 

 

 

 

 

 

 

 

 

 

 

 

 

 

 

 

 

 

 

 

 

 

 

 

 

 

 

 

그의 이론이 지닌 주요한 목적 중 하나는 당시 우세했던 유물론에 맞서 싸우는 것이었다. 그 이론은 비웃음거리가 되어 널리 알려졌지만, 클라크 박사(Dr. S. Clarke) 같은 몇몇은 그를 천재로 여겼다. 그는 그가 세울 학교를 위한 자금 지원을 기다리면서 농장에서 살았다. 그러나 자금은 지원되지 않았고 결국 그는 1732년 런던으로 돌아왔다.

 

 

 

 

 

 

 

 

 

 

 

 

 

 

 

 

 

 

 

 

 

 

 

 

 

 

 

 

 

 

 

 

 

 

 

 

 

 

 

 

 

 

 

 

 

 

 

 

 

 

 

 

 

 

 

 

 

 

 

 

 

 

 

 

 

 

 

 

 

 

 

 

 

 

 

 

 

 

 

 

 

 

1734년 그는 주교로 임명되었다. 버클리의 설교는 왜 식민지에서 기독교가 노예를 지원해야 하는지, 다른 한편으로 노예들은 왜 기독교인이 되어 세례를 받아야 하는지를 설명했다. "사람을 기쁘게 하기 위해 일하는 노예보다 오직 한 마음으로 하느님을 두려워하는 노예를 두는 것이, 육으로는 그의 주인에게 모든 것을 순종해야 하는 노예를 갖는 노예 주인들에게 이득입니다.

 

 

 

 

 

 

 

 

 

 

 

 

 

 

 

 

 

 

 

 

 

 

 

 

 

 

 

 

 

 

 

 

 

 

 

 

 

 

 

 

 

 

 

 

 

 

 

 

 

 

 

 

 

 

 

 

 

 

 

 

 

 

 

 

 

 

 

 

 

 

 

 

 

 

복음의 자유는 일시적인 노예 상태와 일치합니다. 노예는 오직 기독교인이 될 때만 좀 더 나은 노예가 될 수 있습니다." 1714년에서 1720년 사이에 여행하면서, 그는 자신의 학문적인 노력을 유럽 곳곳에서 인정받게 되었다. 1721년 그는 성공회 사제로 서품받았고, 신학박사 학위를 취득했으며, 또다시 더블린에 있는 트리니티 칼리지에 남아 신학과 히브리어를 강의했다. 1724년 그는 대리의 총사제로 임명되었다.

 

 

 

 

 

 

 

 

 

 

 

 

 

 

 

 

 

 

 

 

 

 

 

 

 

 

 

 

 

 

 

 

 

 

 

 

 

 

 

 

 

 

 

 

 

 

 

 

 

 

 

 

 

 

 

 

 

 

 

버클리에게 있어서 세상 모든 것은 관념적이다. 제 일원인지 되는 지성 밖에서는 존재하지 않는다. 감각은 외부의 물체에 의해서 기인하지 않는다. 그 물체들은 하느님의 지성에 있는 관념들이다. 버클리는 '우리가 인식하는 대상은 정확히 그들이 감지되는 만큼 존재한다'는 것을 이론화했다. 인식되는 대상은 오직 존재하는 대상이기 때문에, 객관적인 지식은 가능하다. '인식되는 대상의 실체인 "진짜" 대상은 없다'.

 

 

 

 

 

 

 

 

 

 

 

 

 

 

 

 

 

 

 

 

 

 

 

 

 

 

 

 

 

 

 

 

 

 

 

 

 

 

 

 

 

 

 

 

 

 

 

 

 

 

 

 

 

 

 

 

 

 

 

 

 

 

 

 

 

 

 

 

 

 

 

 

 

 

 

 

 

 

 

인식의 원인이 되며 '우리의 인식을 "넘어서는" "진짜" 대상은 없다'. 존재하는 모든 것은 우리가 인식하는 대상이며, 그것이 실제 대상이다. 다른 사람들에게도 "동일한" 존재의 감각에서 "물질적인" 것인가? 즉, 그들의 개인적인 인식을 넘어서, 다른 인간 존재들의 개념에서조차 타당한 것인지가 사실 의문이라는 것이다. 버클리는 이 질문에 대해 이렇게 대답한다.

 

 

 

 

 

 

 

 

 

 

 

 

 

 

 

 

 

 

 

 

 

 

 

 

 

 

 

 

 

 

 

 

 

 

 

 

 

 

 

 

 

 

 

 

 

 

 

 

 

 

 

 

 

 

 

 

 

 

 

 

 

 

 

 

 

 

 

 

 

 

 

 

 

 

 

 

 

 

 

그들이 그에게 말하는 식의 "다른 사람들의 개인적인 경험"은 그 자신의 활동에서 처음 창조된 것이 아니며, 그들은 자신들의 세계관이 그의 경험과 일치한다는 것을 배운다. 따라서 사람은 자신의 존재와 세계가 모든 이들과 동일하거나 비슷한 것이라고 믿을 수 있다는 것이다. 기본적인 질(質)은 같은 방식으로 다루어진다.

 

 

 

 

 

 

 

 

 

 

 

 

 

 

 

 

 

 

 

 

 

 

 

 

 

 

 

 

 

 

 

 

 

 

 

 

 

 

 

 

 

 

 

 

 

 

 

 

 

 

 

 

 

 

 

 

 

 

 

 

 

 

 

 

 

버클리는 크기가 대상의 질이 아니라고 말한다. 왜냐하면 대상의 크기는 대상과 관찰자 사이의 거리나 관찰자의 크기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버클리는 대화들에서 우리가 그것의 기본적이고 부차적인 질(質)적 측면에 의해 대상을 정의한다고 말함으로써 이것을 보여준다. 그는 부차적인 질(質)의 예로 다음의 것을 채택하였다.

 

 

 

 

 

 

 

 

 

 

 

 

 

 

 

 

 

 

 

 

 

 

 

 

 

 

 

 

 

 

 

 

 

 

 

 

 

 

 

 

 

 

 

 

 

 

 

 

 

 

 

 

 

 

 

 

 

 

 

 

 

 

 

 

 

만약 당신이 한 손으로 차가운 물을 담은 양동이를 들고 있고 당신의 다른 손으로 따뜻한 물이 담겨있는 양동이를 든 후에 양손으로 미적지근한 물을 들면, 당신의 손 중 하나는 당신에게 물이 차갑다고 말하고, 당신의 나머지 손은 물이 뜨겁다고 말할 것이다.

 

 

 

 

 

 

 

 

 

 

 

 

 

 

 

 

 

 

 

 

 

 

 

 

 

 

 

 

 

 

 

 

 

 

 

 

 

 

 

 

 

 

 

 

 

 

 

 

 

 

 

 

 

 

 

 

 

 

 

 

 

 

 

 

 

 

 

 

 

 

 

 

 

 

 

 

 

 

 

 

 

 

 

 

 

 

 

 

 

 

 

 

 

 

 

 

버클리는 두 가지 다른 대상이 물을 뜨겁거나 차갑다고 인식하기 때문에 그 온도는 물의 질이 아니라고 말한다. 처음 출판한 것은 수학적인 내용을 다룬 것이었으나, 그가 세간의 주목을 받게 된 것은 '시각에 대한 새로운 이론을 위한 소론'을 1709년에 출간하면서부터였다. 당시 그의 이론은 많은 논쟁을 일으켰으나, 오늘날에는 광학 이론에서 그의 결론은 확실하게 인정받는다.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0) 2022.07.12
데이비드 흄  (0) 2022.07.10
고트프리트 빌헬름 라이프니츠  (0) 2022.07.06
바뤼흐 스피노자  (0) 2022.07.05
르네 데카르트 2  (0) 2022.07.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