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앙리 베르그송

laura-tiki 2022. 7. 14. 21:34

프랑스 철학자인 앙리 베르그송이 주장한 시간이란 인간의 내면에 존재하는 직관적인 개념이다. 우리는 숫자를 더하듯이 시간을 단편적으로 인식한다.

 

 

 

 

 

 

 

 

 

 

 

 

 

 

 

 

 

 

 

 

 

 

 

 

 

 

 

 

 

 

 

 

 

 

 

 

 

 

 

 

 

 

 

 

 

 

 

 

 

 

 

 

 

 

 

 

 

 

 

 

 

 

 

 

 

 

 

베르그송 분할된 시간 개념은 공간 개념에 익숙한 사람들이 시간을 공간적으로 파악하려는 데 그 원인이 있다고 말한다. 1859년 10월 18일 파리에서 폴란드 유대인 아버지와 영국 국적의 아일랜드계 유대인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베르그송은 어린 시절부터 학업에 뛰어난 자질을 보였는데, 전국 학력 경시대회에서 라틴어, 영어, 기하학, 그리스어, 불 작문, 수학, 역사 등 다양한 분야의 상을 휩쓸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베르그송이 1877년 전국학력 경시대회의 수학 부문에 제출한 답안은 수학 연보에 소개되기도 했다.

 

 

 

 

 

 

 

 

 

 

 

 

 

 

 

 

 

 

 

 

 

 

 

 

 

 

 

 

 

 

 

 

 

 

 

 

 

 

 

 

 

 

 

 

 

 

 

 

 

 

 

 

 

 

 

 

 

1878년에는 파리 고등사범학교에 입학하였고, 1881년에는 고등사범학교 졸업과 함께 철학 교수 자격시험에 합격하였다. 1904년에는 콜레주 드 프랑스의 현대철학 담당 교수로 자리를 옮겨 1921년 은퇴할 때까지 이곳에서 강의와 연구를 병행하였다.

 

 

 

 

 

 

 

 

 

 

 

 

 

 

 

 

 

 

 

 

 

 

 

 

 

 

 

 

 

 

 

 

 

 

 

 

 

 

 

 

 

 

 

 

 

 

 

 

 

 

 

 

 

 

 

 

 

 

 

 

 

 

 

 

 

 

 

 

 

 

 

 

 

 

 

 

 

 

 

 

 

 

 

 

 

 

 

 

 

1928년에는 노벨 문학상을 받았으며, 1930년에는 레지옹 도뇌르 1등 훈장을 받았다. 비슷한 시대에 활동했던 윌리엄 제임스와 많은 영향을 주고받았고, 알베르트 아인슈타인과는 시간의 본성을 둘러싸고 논쟁을 벌이기도 했다. 또 베르그송은 저명한 지식인으로서 사회적 활동에 나서기도 했다.

 

 

 

 

 

 

 

 

 

 

 

 

 

 

 

 

 

 

 

 

 

 

 

 

 

 

 

 

 

 

 

 

 

 

 

 

 

 

 

 

 

 

 

 

 

 

 

 

 

 

 

 

 

 

 

 

 

 

 

 

 

 

 

 

1917년에는 군사적, 재정적 지원을 요청하기 위해 프랑스 대표단의 일원으로 우드로 윌슨 대통령을 만나기도 했고, 1922년부터 1925년까지는 유네스코의 전신인 지적 협력 국제위원회에서 활동하였다. '순수 지속'은 이렇게 직관을 통해 파악하는 질적 존재로서의 시간, 의식의 흐름처럼 지속해서 이어지는 시간을 뜻한다.

 

 

 

 

 

 

 

 

 

 

 

 

 

 

 

 

 

 

 

 

 

 

 

 

 

 

 

 

 

 

 

 

 

 

 

 

 

 

 

 

 

 

 

 

 

 

 

 

 

 

 

 

 

 

 

 

 

 

 

 

 

 

 

 

 

 

 

 

 

 

 

 

 

 

 

 

 

 

 

 

 

 

 

 

 

 

지속, 의식, 그리고 생명의 문제에 천착하는 경향을 보이는데, 그의 대부분 저작에서 이와 같은 문제들이 논의의 중심에 놓인다. 그의 철학은 선험적인 그리고 논리적인 체계를 구축하려 하기보다는 한편으로는 동시대 자연과학의 실증적 성과들을 수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경험과 직관에 기반을 둔다는 점에서 전통적인 형이상학과는 구분되는 면이 있다. 더 이상 시간을 양으로 잴 수 있는 물리적 관점이 아닌 인간 내면에서 끊임없이 지속하는 '순수 지속'의 개념으로 받아들인다.

 

 

 

 

 

 

 

 

 

 

 

 

 

 

 

 

 

 

 

 

 

 

 

 

 

 

 

 

 

 

 

 

 

 

 

 

 

 

 

 

 

 

 

 

 

 

 

 

 

 

 

 

 

 

 

 

 

 

 

 

 

 

 

 

 

 

 

 

 

 

 

 

 

 

 

 

 

 

베르그송 철학의 핵심을 이루는 개념은 지속이다. 이 개념은 시간에 관한 것이기는 하지만, 전통적으로 혼동되어 온 시간의 두 측면을 서로 구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도입되었다. 즉 베르그송은 그의 박사학위논문인 [의식에 직접 주어진 것들에 관한 시론]에서 "순수한 지속과 공간의 관념이 몰래 개입한 지속"을 서로 구별해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순수한 공간은 그 안에 놓인 것들 사이의 질적 차이를 포함하지 않는 '동질성'의 관계를 매개하는 반면, 순수한 지속은 "명확한 윤곽도 없고, 서로의 밖에 있으려는 어떠한 경향도 없으며, 서로 침투하는 질적 변화의 연속"으로서의 "순수한 이질성"에 해당한다.

 

 

 

 

 

 

 

 

 

 

 

 

 

 

 

 

 

 

 

 

 

 

 

 

 

 

 

 

 

 

 

 

 

 

 

 

 

 

 

 

 

 

 

 

 

지속의 개념은 정지된 것이 기준이 되고 움직이는 것이 예외가 되는 전통적인 서구 형이상학의 구도를 뒤집어, 움직이는 것을 그 자체로 하나의 기준으로 삼는다. 플라톤 이래 서구의 형이상학에서는 정지된 것이야말로 그 자체로 존재하는 것이며, 움직이거나 변화한다는 것은 이전과는 다른 존재로 탈바꿈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하지만 베르그송은 순수 지속의 개념을 통해 움직이거나 변화하는 것 또한 그 자체로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물체의 궤적은 지속이 개입되지 않은 공간적 상태로서 모든 것이 동시에 주어지며 궤적상의 점들 사이에 어떠한 질적 차이도 없다. 반면 운동 그 자체, 혹은 운동으로부터 추출된 운동성은 공간상의 특수한 지점을 점유하지 않는 이행 혹은 과정에 해당하는 것이다.

 

 

 

 

 

 

 

 

 

 

 

 

 

 

 

 

 

 

 

 

 

 

 

 

 

 

 

 

 

 

 

 

 

 

 

 

 

 

 

 

 

 

 

 

 

 

 

 

 

 

 

 

 

 

 

 

 

 

 

 

운동성은 순수한 이질성에 해당하기 때문에, 제논의 역설의 사례에서, 아킬레우스의 운동과 거북의 운동은 서로 다른 운동이며, 이들 사이에는 어떠한 동질적인 비교 공간도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비교하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

 

 

 

 

 

 

 

 

 

 

 

 

 

 

 

 

 

 

 

 

 

 

 

 

 

 

 

 

 

 

 

 

 

 

 

 

 

 

 

 

 

 

 

 

 

 

 

 

 

 

 

 

 

 

 

 

 

 

 

 

 

 

 

 

 

 

 

 

 

 

 

 

 

 

 

베르그송은 분석은 과학의 방법이고, 형이상학은 직관을 목표로 해야 하며, 서양 철학 전통이 저지른 실수는 대체로 분석과 직관의 두 방법을 혼동한 데에 있다고 주장한다. 따라서 참된 형이상학은 과학을 포함하거나 과학에 포함되는 방식이 아니라 과학과 상보적 쌍을 이루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 베르그송의 결론이다.

 

 

 

 

 

 

 

 

 

 

 

 

 

 

 

 

 

 

 

 

 

 

 

 

 

 

 

 

 

 

 

 

 

 

 

 

 

 

 

 

 

 

 

 

 

 

 

 

 

 

 

 

 

 

 

 

 

 

 

 

 

 

 

 

 

 

 

 

심리학, 진화론, 생리학에 깊이 뿌리내리고 있을 뿐 아니라 열역학이나 상대성 이론과 같은 분야들 또한 자주 언급한다는 점에서 과학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다. 그러므로 베르그송에게 과학과 철학의 관계를 규명하는 일은 중요한 과제가 될 수밖에 없다. 베르그송은 [형이상학 입문]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이 문제를 명시적으로 이야기한다.

 

 

 

 

 

 

 

 

 

 

 

 

 

 

 

 

 

 

 

 

 

 

 

 

 

 

 

 

 

 

 

 

 

 

 

 

 

 

 

 

 

 

 

 

 

 

 

 

 

 

인간의 존재를 해명하면서 생명, 몸, 의식의 개념을 중심에 놓은 베르그송은 현상학의 프랑스 수용에 영향을 주어 사르트르, 메를로퐁티, 마르셀 등으로 대표되는 프랑스 현상학의 고유한 흐름이 형성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현대철학 사조의 선구자로 평가받는 베르그송은 플라톤으로부터 이어지는 서양의 전통 형이상학을 개혁함으로써 화이트헤드 들뢰즈를 비롯한 20세기 이후의 존재론이 전개되는 배경을 마련하였다.

 

 

 

 

 

 

 

 

 

 

 

 

 

 

 

 

 

 

 

 

 

 

 

 

 

 

 

 

 

 

 

 

 

 

 

 

 

 

 

 

 

 

 

 

 

 

 

 

 

 

 

 

 

 

 

 

 

 

 

 

 

베르그송의 철학은 경험 과학의 논의와도 긴밀한 관계를 맺는바 과학자들 과학철학자들에게도 많은 영감을 제공했다.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이클 샌델  (0) 2022.07.18
모리스 메를로퐁티  (0) 2022.07.15
게오르크 빌헬름 프리드리히 헤겔  (0) 2022.07.12
데이비드 흄  (0) 2022.07.10
조지 버클리  (0) 2022.07.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