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미하일 바쿠닌

laura-tiki 2022. 9. 5. 22:21

그는 마르크스의 사적유물론과 자본론은 긍정했지만,

중앙집권을 지향하는 마르크스의 국가 권력에 대해서는 절대적으로 부정했으며

분권화된 집산주의와 개인의 자유를 강조하고 상속 재산제와 국가의 폐지를 주장했다.

그는 마르크스의 이론대로면 반드시 독재자가 나오기 마련이라고 생각했고,

그의 예언은 소련이라는 이름으로 실현되었다. 바쿠닌은 마르크스 엥겔스보다도 극단적인 사람이었다.

 

 

 

 

 

 

 

 

 

 

 

 

 

 

 

 

 

 

 

 

 

 

 

 

 

 

 

 

 

 

 

 

 

 

 

 

 

 

 

 

 

 

 

 

 

 

 

 

 

 

 

 

 

 

 

 

 

 

 

 

 

 

 

 

 

 

 

 

 

 

 

 

 

 

 

 

 

 

 

 

 

 

 

 

 

 

 

 

 

 

 

 

 

 

 

 

 

 

 

 

 

 

 

 

 

 

 

 

 

 

 

 

 

 

 

 

 

 

 

 

 

 

 

 

 

 

 

 

 

 

 

 

 

 

 

 

 

 

 

 

 

 

 

인터내셔널이 분사 하기 전까지 마르크스와 사상적 대결로 인해

점차 청년기의 슬라브 범 민족주의를 버리고 아나키즘과 생디칼리즘의

기본적인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게 된다.

20세기 아나키즘의 조류를 이루었던 조르주 소렐의 생디칼리즘과 표트르 크로포트킨의

사회주의 아나키즘의 지대한 영향을 주었다. 미하일 알렉산드로비치 바쿠닌 

러시아 출신의 아나키스트 혁명가이자 철학자이다.

 

 

 

 

 

 

 

 

 

 

 

 

 

 

 

 

 

 

 

 

 

 

 

 

 

 

 

 

 

 

 

 

 

 

 

 

 

 

 

 

 

 

 

 

 

 

 

 

 

 

 

 

 

 

 

 

 

 

 

 

 

 

 

 

 

 

 

 

 

 

 

 

 

 

 

 

 

 

 

 

 

 

 

 

 

 

 

 

 

 

 

 

 

 

 

 

 

 

 

 

 

 

 

 

 

 

 

 

 

바쿠닌은 프루동과 함께 대표적 아나키스트였다.

하지만 친교를 맺었던 프루동의 개인주의 아나키즘과는 구분할 필요가 있다.

그는 이론보다 행동을 강조했으며 파괴는 창조의 열정이라는

역설을 통해 파괴를 긍정하는 독특한 사상을 만들어 냈다.

 

 

 

 

 

 

 

 

 

 

 

 

 

 

 

 

 

 

 

 

 

 

 

 

 

 

 

 

 

 

 

 

 

 

 

 

 

 

 

 

 

 

 

 

 

 

 

 

 

 

 

 

 

 

 

 

 

 

 

 

 

 

 

 

 

 

 

 

 

 

 

 

 

 

 

 

 

 

 

 

 

 

 

 

 

 

 

 

 

 

 

 

 

 

 

 

 

 

바쿠닌에 의하여 당시 유럽에서 산발적으로 나타나던 특정한 혁명적 좌파 세력이

자신을 아나키스트라는 하나의 이름으로 자각하게 됐고,

이로써 아나키즘은 본격적으로 하나의 정치세력으로서 등장하게 되었다.

따라서 바쿠닌을 "아나키즘의 아버지"라 부르기도 한다.

그의 주요 이론은 집산주의적 아나키즘이었다. 외형적으로 그는 굉장한 거구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쾨니히슈타인 경찰의 보고서에 의하면 6.55피트(약 2M)의 장신이었다고 한다.

 

 

 

 

 

 

 

 

 

 

 

 

 

 

 

 

 

 

 

 

 

 

 

 

 

 

 

 

 

 

 

 

 

 

 

 

 

 

 

 

 

 

 

 

 

 

 

 

 

 

 

 

 

 

 

 

 

 

 

 

 

 

 

 

 

 

 

 

 

 

 

 

 

 

 

 

 

 

 

 

 

 

 

 

 

 

 

 

 

 

 

 

 

 

 

 

 

 

 

 

 

 

 

 

 

 

 

 

 

 

 

 

바쿠닌은 신으로부터 내려오는 관념부터 군주의 의지 심지어 보통 선거를 통해

나오는 권위든지에 관계없이 모든 형태의 국가주의적 위계적 시스템을 부정했다.

우리는 그것이 보통선거로 생겨난 것일지라도, 모든 법률, 모든 권위

그리고 모든 특권과 허가와 공적 및 법적 영향을 부정한다.

우리는 이것이 복종하는 다수의 이익에 반하여 그들을 지배하는

소수의 착취자에게만 이점으로 작용하게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

 

 

 

 

 

 

 

 

 

 

 

 

 

 

 

 

 

 

 

 

 

 

 

 

 

 

 

 

 

 

 

 

 

 

 

 

 

 

 

 

 

 

 

 

 

 

 

 

 

 

 

 

 

 

 

 

 

 

 

 

 

 

 

 

 

 

 

 

 

 

 

 

 

 

 

 

 

 

 

 

 

 

 

 

 

 

 

 

 

 

 

 

 

 

 

 

 

 

 

 

 

 

 

 

 

 

 

 

 

 

 

 

 

 

 

 

 

 

 

 

 

 

 

 

 

 

 

 

 

 

 

 

 

 

 

 

 

 

 

 

 

 

 

 

 

 

 

 

이것이 우리가 정말로 아나키스트라는 인식이다. 인간의 자유는 신성함, 인간,

집단 혹은 개인 같은 어떠한 외부적 힘이 그에게 강요하는 것이 아니다.

오로지 그 자신이 자신을 인식한 자연적 법칙에 따르는 것이다.

특권과 모든 특권적 위치의 특징은 인간의 지성과 마음을 죽이는 것이다.

특권을 지닌 자는 그 특권이 정치적이든지 경제적인지에 무관하게 지성과 마음이 타락한 자이다.

그는 신과 국가에서(Die et l'État, God and the State) 위와 같은 내용으로 썼다.

혁명적 독재와 국가주의의 차이는 피상적일 뿐이다.

 

 

 

 

 

 

 

 

 

 

 

 

 

 

 

 

 

 

 

 

 

 

 

 

 

 

 

 

 

 

 

 

 

 

 

 

 

 

 

 

 

 

 

 

 

 

 

 

 

 

 

 

 

 

 

 

 

 

 

 

 

 

 

 

 

 

 

 

 

 

 

 

 

 

 

 

 

 

 

 

 

 

 

 

 

 

 

 

 

 

 

 

 

 

 

 

 

 

 

 

 

 

 

 

 

 

 

 

 

 

 

 

 

 

 

 

 

 

 

 

 

 

 

 

 

 

 

 

 

 

 

 

 

 

 

 

 

근본적으로 그 둘은 소수의 '지성'과 다수의 '어리석음'을 가정하는,

다수에 대한 소수의 지배라는 동일한 원리를 나타낸다. 따라서 그 둘은 머지 않아 지배하는 소수의 정치적,

경제적 특권과 대다수 민중의 정치적, 경제적 종속을 지속시키고 영구적으로

만들어야만 한다는 점에서 똑같이 반동적이다.

이로써 폐허 위에 자신들의 독재 정권을 세우기 위해 기존 권력과 사회 구조를 타도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독재적 혁명가들이 결코 정부의 적이 아니었으며 정부의 적이 될 수도 없음이 분명해진다.

 

 

 

 

 

 

 

 

 

 

 

 

 

 

 

 

 

 

 

 

 

 

 

 

 

 

 

 

 

 

 

 

 

 

 

 

 

 

 

 

 

 

 

 

 

 

 

 

 

 

 

 

 

 

 

 

 

 

 

 

 

 

 

 

 

 

 

 

 

 

 

 

 

 

 

 

 

 

 

 

 

 

 

 

 

 

 

 

 

 

 

 

 

 

 

 

 

 

 

 

 

 

 

 

 

 

 

 

 

 

 

 

 

 

 

 

 

 

 

 

 

 

 

 

 

 

 

 

 

 

반대로 그들은 언제나 정부라는 개념의 가장열렬한 주창자가 될것이다.

그들은 정부를 대체하길 원하기 때문에 오직 현 정부에 대해서만 적일뿐이다. 

이것이 그들의 독재의 가능성을 배제하기 때문에 그들은 오로지 현재의 통치 구조에 대해서만 적이다.

동시에 그들은 정부 권력의 가장 헌신적인 친구들이다.

만일 혁명이 실제로 대중을 자유롭게 만듦으로써 권력을 파괴하게 된다면,

그들의 정부의 이익을 위해 대중에게 마구(馬具)를 채우려는 이 사이버 혁명가들에게서 모든 희망을 빼앗아야 할 것이다.

 

 

 

 

 

 

 

 

 

 

 

 

 

 

 

 

 

 

 

 

 

 

 

 

 

 

 

 

 

 

 

 

 

 

 

 

 

 

 

 

 

 

 

 

 

 

 

 

 

 

 

 

 

 

 

 

 

 

 

 

 

 

 

 

 

 

 

 

 

 

 

 

 

 

 

 

 

 

 

 

 

 

 

 

 

 

 

 

 

 

 

 

 

 

 

 

 

 

 

 

 

 

 

 

 

 

 

 

 

 

 

 

 

 

 

 

 

 

 

 

 

 

 

 

 

 

 

 

 

 

 

 

 

 

 

 

 

 

 

 

 

 

 

 

 

 

 

 

 

 

 

 

 

 

 

 

 

 

 

 

 

 

 

 

 

 

한번 되물어보자. 프롤레타리아가 지배 계급이 된다면, 그들은 누구를 지배하게 되는가?

간단히 말해서, 이 새로운 국가와 새로운 지배에 굴복해야 하는 또 다른 프롤레타리아가 남아있어야 하는 것이다.

국가가 있기 위해선 반드시 한 계급이 다른 계급을 지배해야 하며,

결과적으로 노예제가 등장할 수 밖에 없다. 노예제 없는 국가는 상상할 수 없다.

그리고 이것이 우리가 국가의 적인 이유다. ‘프롤레타리아가 통치계급이 된다’니, 이게 대체 무슨 의미인가?

 

 

 

 

 

 

 

 

 

 

 

 

 

 

 

 

 

 

 

 

 

 

 

 

 

 

 

 

 

 

 

 

 

 

 

 

 

 

 

 

 

 

 

 

 

 

 

 

 

 

 

 

 

 

 

 

 

 

 

 

 

 

 

 

 

 

 

 

 

 

 

 

 

 

 

 

 

 

 

 

 

 

 

 

 

 

 

 

 

 

 

 

 

 

 

 

 

 

 

 

 

 

 

 

 

 

 

 

 

 

 

 

 

 

 

 

 

 

 

 

 

 

 

 

 

 

 

 

 

 

 

 

 

 

 

 

 

 

 

 

 

 

 

 

 

 

 

 

 

 

 

 

 

 

 

 

 

 

 

 

 

 

 

 

 

 

 

 

 

 

 

 

 

 

 

 

 

 

 

 

 

 

 

 

 

 

 

 

 

 

 

 

 

 

 

 

 

 

 

 

 

 

 

 

 

 

모든 프롤레타리아가 정부의 수반을 맡는다는 말일까? 독일에는 4천만의 민중이 있는데,

그들 모두가 정부의 일원이 될 수 있다는 말일까? 정말 그런 경우라면, 국가도 정부도 없을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이 국가를 탄생 시킨다면, 당연히 지배하는 이도 있을 것이고, 노예도 있을 것이다.

마르크스주의 이론에서 이런 딜레마는 손쉽게 해결된다. 인민에 의해 선출된

소수의 대리자들이 인민의 정부를 꾸리는 것이다.

 

 

 

 

 

 

 

 

 

 

 

 

 

 

 

 

 

 

 

 

 

 

 

 

 

 

 

 

 

 

 

 

 

 

 

 

 

 

 

 

 

 

 

 

 

 

 

 

 

 

 

 

 

 

 

 

 

 

 

 

 

 

 

 

 

 

 

 

 

 

 

 

 

 

 

 

 

 

 

 

 

 

 

 

 

 

 

 

 

 

 

 

 

 

 

 

 

 

 

 

 

 

 

 

 

 

 

 

 

 

 

 

 

 

 

 

 

 

 

 

 

 

 

 

 

 

 

 

 

 

 

 

 

 

 

 

 

 

 

 

 

 

 

 

 

 

 

 

 

 

 

 

 

 

 

 

 

 

 

 

 

 

 

 

 

 

 

 

 

 

 

 

 

 

 

 

 

 

 

 

 

 

 

 

 

 

 

 

 

 

 

 

 

 

 

 

 

 

 

 

 

 

 

 

 

 

 

 

 

 

 

 

 

 

 

 

 

 

 

 

 

 

 

 

 

 

 

 

 

 

 

 

 

 

 

 

 

 

 

 

 

 

전국에서 보통선거를 거쳐 당선된 이른바 민중의 대표와 국가의 통치자,

이것이 마르크스주의자들과 민주주의자들의 결론이다. 그러나 이것은

소수 지배계급의 독재라는 사실을 뒤편에 숨긴 거짓말이다.

이 거짓말이 더욱 위험한 이유는, 이것이 인민의 뜻을 대변한다며 등장하기 때문이다.

결국 이는 언제나 같은 결과를 내놓을 것이다. 특권을 가진 소수의 정부가 탄생할 것이다.

마르크스주의자들은 이 소수가 노동자들로 구성되어 있다고 말한다.

 

 

 

 

 

 

 

 

 

 

 

 

 

 

 

 

 

 

 

 

 

 

 

 

 

 

 

 

 

 

 

 

 

 

 

 

 

 

 

 

 

 

 

 

 

 

 

 

 

 

 

 

 

 

 

 

 

 

 

 

 

 

 

 

 

 

 

 

 

 

 

 

 

 

 

 

 

 

 

 

 

 

 

 

 

 

 

 

 

 

 

 

 

 

 

 

 

 

 

 

 

 

 

 

 

 

 

 

 

 

 

 

 

 

 

 

 

 

 

 

 

 

 

 

 

 

 

 

 

 

 

 

 

 

 

 

 

 

 

 

 

 

 

 

 

 

 

 

 

 

 

 

 

 

 

 

 

 

 

 

 

 

 

 

 

 

 

 

 

 

 

 

 

 

 

 

 

 

 

 

 

 

 

 

 

 

 

 

 

 

 

물론 그렇겠지만, 그들은 전(前)노동자일 뿐이다.

그들이 대표자나 통치자가 되는 순간 더이상 노동자가 아니게 되며,

국가 권력의 가장 높은 곳에서 노동자들을 내려다보게 될 것이다.

결국 그들은 더 이상 노동자를 대변하지 않게 될 것이고,

단지 민중을 지배하고자 하는 그들 자신의 욕구만을 대변하게 될 것이다.

 

 

 

 

 

 

 

 

 

 

 

 

 

 

 

 

 

 

 

 

 

 

 

 

 

 

 

 

 

 

 

 

 

 

 

 

 

 

 

 

 

 

 

 

 

 

 

 

 

 

 

 

 

 

 

 

 

 

 

 

 

 

 

 

 

 

 

 

 

 

 

 

 

 

 

 

 

 

 

 

 

 

 

 

 

 

 

 

 

 

 

 

 

 

 

 

 

 

 

 

 

 

 

 

 

 

 

 

 

 

 

 

 

 

 

 

 

 

 

 

 

 

 

 

 

 

 

 

 

 

 

 

 

 

 

 

 

 

 

 

 

 

 

 

 

 

 

 

이를 의심하는 사람은 인간의 본성을 잘 알지 못하는 자이다.

사회주의 철학에서 계급을 이야기할 때는, 사람이 생산에 관여하는 방식으로서 분석한다.

생산수단을 소유한 자가 부르주아, 즉 자본가이며, 생산수단을 소유하지 못했기에

그들의 노동력(혹은 서비스)을 제공해야 하는 프롤레타리아, 즉 노동자가 그것이다.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오귀스트 콩트  (0) 2022.09.09
미하일 바쿠닌2  (0) 2022.09.06
볼테르  (0) 2022.09.01
호세 오르테가 이 가세트  (0) 2022.08.31
마르쿠스 툴리우스 키케로  (0) 2022.0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