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비토리오 회슬레

laura-tiki 2022. 10. 21. 21:09

회슬레의 철학은 객관적 관념론이라고 불리는 플라톤 및 헤겔 철학의 전통에서 파악될 수 있다.

그는 이성을 통한 객관적 진리에 대한 추구를 철학적 사유의 가장 중요한 과제로 이해한다.

그는 객관적인 진리를 인식할 수 있다는 이성에 대한 믿음에 대해 회의하거나

그것을 위험하다고 비판하는 포스트 모던 적 사상의 흐름에 반대한다.

그가 보기에 ‘이성에 대한 모든 비판은 자기 모순적이다.’ 왜냐하면 이성에 대한

비판이 진지하게 취급되어야 할 이성적 근거를 갖고 있지 않은 경우

우리는 그 비판을 무시하면 될 것이기 때문이고,

다른 한편으로 이성에 대한 비판이 타당한 이성적 근거를 가졌다면

그 비판 자체가 이성에 호소하고 있다는 점에서 모순적이기 때문이다. 

 

 

 

 

 

 

 

 

 

 

 

 

 

 

 

 

 

 

 

 

 

 

 

 

 

 

 

 

 

 

 

 

 

 

 

 

 

 

 

 

 

 

 

 

 

 

 

 

 

 

 

 

 

 

 

 

 

 

 

 

 

 

 

 

 

 

 

 

 

 

 

 

 

 

 

 

 

 

 

 

 

 

 

 

 

 

 

 

 

 

 

 

 

 

 

 

 

 

 

 

 

 

 

 

 

 

 

 

 

 

 

 

 

 

 

 

 

 

 

 

 

 

 

 

 

 

 

 

 

 

 

 

 

 

 

 

 

 

 

 

 

 

 

 

 

 

 

 

 

 

 

 

 

 

 

 

 

 

 

 

 

 

 

 

 

 

 

 

 

 

 

 

 

 

 

 

 

 

 

비토리오 회슬레(Vittorio Hösle)는 독일의 철학자이다. 그는 [헤겔의 체계](Hegels System, 1987년),

[도덕과 정치](Moral und Politk, 1997년),

[현대의 위기와 철학의 책임](Die Krise der Gegenwart und die Verantwortung der Philosophie, 1990년),

[철학적 대화](Der philosophische Dialog),

그리고 [독일 철학사](Eine kurze Geschichte der deutschen Philosophie) 등

형이상학, 실천철학, 자연철학, 미학, 신학과 철학사에 걸친 영역에서 저술활동을 펼치고 있다.

튀빙겐 대학에서 ”진리와 역사.

 

 

 

 

 

 

 

 

 

 

 

 

 

 

 

 

 

 

 

 

 

 

 

 

 

 

 

 

 

 

 

 

 

 

 

 

 

 

 

 

 

 

 

 

 

 

 

 

 

 

 

 

 

 

 

 

 

 

 

 

 

 

 

 

 

 

 

 

 

 

 

 

 

 

 

 

 

 

 

 

 

 

 

 

 

 

 

 

 

 

 

 

 

 

 

 

 

 

 

 

 

 

 

 

 

 

 

 

 

 

 

 

 

 

 

 

 

 

 

 

 

 

 

 

 

 

 

 

 

 

 

 

 

 

 

 

 

 

 

 

파르메니데스에서 플라톤으로의 발전에 대한 범형적 분석을 통한 철학사의 구조 연구“로

최우등 졸업과 함께 박사학위를 취득했으며,

1986년에 “주관성과 상호주관성. 헤겔의 체계에 대한 연구”로 교수자격을 취득했다.

회슬레는 철학사에서 반복적으로 나타나는 철학적 발상들이 있으며,

그는 이 발상들을 실재론(Realismus), 주관적 관념론(Subjective idealism),

객관적 관념론(Objective idealism)으로 분류하고,

각각의 철학사적 시기(그리스, 헬레니즘-로마, 중세, 근대, 현대)마다

실재론에서 주관적 관념론을 거쳐 객관적 관념론으로 나아가는 사상적 발전이 나타남을 주장한다.

주관적 관념론은 실재론의 결함을 메우고자 한다.

 

 

 

 

 

 

 

 

 

 

 

 

 

 

 

 

 

 

 

 

 

 

 

 

 

 

 

 

 

 

 

 

 

 

 

 

 

 

 

 

 

 

 

 

 

 

 

 

 

 

 

 

 

 

 

 

 

 

 

 

 

 

 

 

 

 

 

 

 

 

 

 

 

 

 

 

 

 

 

 

 

 

 

 

 

 

 

 

 

 

 

 

 

 

 

 

 

 

 

주관적 관념론에는 상이한 구조의 발상들이 속하지만,

이 구조들은 모두 “외부로부터 주어진 것에 대한 수동적인 반응들로

환원할 수 없는 자발적 의식활동들의 구성적 기능”을 지시한다.

이러한 사고는 실재론과는 달리 인식활동의 자발성을 인정하나,

그 자발성에 근거지어져 있는 인식들의 진리 주장의 상대화를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실재론과 일치한다. 

주관적 관념론은 인식의 자발적 행위가 인식과정에 필연적이라는

선험적인 것과 유사한 개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행위들을 현실에서 검증하려는 시도를 불가능한 것으로 여김으로써 회의주의,

다원주의 및 상대주의의 결론을 이끌어낸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실재론은 의식으로부터 독립적인 실재와 경험 가능한 현실을 가정한다.

실재론의 진리개념은 대응설적이며, 즉 의식과 의식에 주어진 현실이 일치하는 것이 진리다.

의식은 현실의 파악에 있어서 가능한한 수동적인 입장을 취해야 하는데,

의식이 현실을 파악할 때 의식 자신의 것을 부가한다면 그 현실을 변조시킬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수동성과 수용성은 경험적 인식에서 주어지는 것이며,

이론들은 경험에서 검증될 수 있다. 따라서 실재론은 일반적으로 경험론(Empirismus)으로 귀착된다.

주관적 관념론은 실재론의 결함을 메우고자 한다.

 

 

 

 

 

 

 

 

 

 

 

 

 

 

 

 

 

 

 

 

 

 

 

 

 

 

 

 

 

 

 

 

 

 

 

 

 

 

 

 

 

 

 

 

 

 

 

 

 

 

 

 

 

 

 

 

 

 

 

 

 

 

 

 

 

 

 

 

 

 

 

 

 

 

 

 

 

 

 

 

 

 

 

 

 

 

 

 

 

 

 

 

 

 

 

 

 

 

 

 

 

 

 

 

 

 

 

 

 

 

 

 

 

 

 

 

 

 

 

 

 

 

 

 

 

 

 

 

 

 

 

 

 

 

 

 

 

 

 

 

 

 

 

 

 

 

 

 

 

 

 

주관적 관념론에는 상이한 구조의 발상들이 속하지만,

이 구조들은 모두 “외부로부터 주어진 것에 대한 수동적인 반응들로

환원할 수 없는 자발적 의식활동들의 구성적 기능”을 지시한다. 

사고는 실재론과는 달리 인식활동의 자발성을 인정하나,

그 자발성에 근거지어져 있는 인식들의 진리 주장의 상대화를 받아들인다는 점에서 실재론과 일치한다.

이러한 주관적 관념론은 인식의 자발적 행위가 인식과정에 필연적이라는

선험적인 것과 유사한 개념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행위들을 현실에서 검증하려는 시도를 불가능한 것으로 여김으로써 회의주의,

다원주의 및 상대주의의 결론을 이끌어낸다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객관적 관념론은 실재론과 첫째, 선험적 범주들 내지 선험적 종합판단들을 가정하고

둘째, 그것들에게 존재론적인 위엄을 부여하는 견해이다.  

진리들은 경험적 사실로부터의 추상에 의해 획득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인간의 의식 상태나 상호주관적 형성물로 환원될 수 없다.

객관적 관념론은 실재론과 주관적 관념론의 종합인데,

이 이론은 주관적 관념론과 같이 이성의 자발성을 인정하면서도,

유한한 의식에 독립적인 이념적인 것을 인정하기 때문이다.

회슬레는 인류의 가장 시급한 문제를 환경 문제로 보고,

이 환경 위기가 서구사회를 지배한 철학적 사상의 필연적 귀결이라고 진단한다.

 

 

 

 

 

 

 

 

 

 

 

 

 

 

 

 

 

 

 

 

 

 

 

 

 

 

 

 

 

 

 

 

 

 

 

 

 

 

 

 

 

 

 

 

 

 

 

 

 

 

 

 

 

 

 

 

 

 

 

 

 

 

 

 

 

 

 

 

 

 

 

 

 

 

 

 

 

 

 

 

 

 

 

 

 

 

 

 

 

 

 

 

 

 

 

 

 

 

 

 

 

 

 

 

 

 

 

 

 

 

 

 

 

 

 

 

 

 

 

 

 

 

 

 

 

 

 

 

 

 

 

 

 

 

 

 

 

 

 

 

 

 

 

 

 

 

 

 

 

 

 

 

 

 

 

 

 

 

 

 

 

 

 

 

 

 

 

 

 

 

 

 

 

 

 

 

 

 

 

 

 

 

 

 

 

 

 

 

 

 

 

 

 

 

 

 

 

 

 

 

 

 

 

 

 

 

 

 

 

 

 

 

 

 

 

 

 

 

 

 

 

그는 객관적 관념론의 입장에서 새로운 환경철학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회슬레는 우리에게 필요한 것이 학문과 이성의 거부가 아니라,

“학문과 이성의 변화”임을 말한다. 회슬레는 칸트에게서 근대 철학의 자율적이고 보편적인 이성의 이념을 본다.

칸트의 실천 철학은 인간의 도덕적 주체성의 원천을 이성의 자율의 이념에서 구하려는 철학을 대표하는 것이다.

 

 

 

 

 

 

 

 

 

 

 

 

 

 

 

 

 

 

 

 

 

 

 

 

 

 

 

 

 

 

 

 

 

 

 

 

 

 

 

 

 

 

 

 

 

 

 

 

 

 

 

 

 

 

 

 

 

 

 

 

 

동시에 칸트의 보편주의적인 윤리학은 “현대가 특별히 자부심을 지니고 있고,

현대가 모든 퇴행시도에 대해서 열정적으로 방어하며

그리고 시민적 시대의 도덕적 우월감의 근거를 함께 형성했으며

오늘날까지 형성하고 있는 상당히 중요한 것”이다.

 

 

 

 

 

 

 

 

 

 

 

 

 

 

 

 

 

 

 

 

 

 

 

 

 

 

 

 

 

 

 

 

 

 

 

 

 

 

 

 

 

 

 

 

 

 

 

 

 

 

 

 

 

 

 

 

 

 

 

 

 

 

 

 

 

 

 

 

칸트 윤리학은 “자유는 인간이 원하는 것을 행하는 데에 있다고

믿는 형식적인 자유 개념의 극복”을 가능하게 해주는 학설로서,

“자유는 오히려 올바른 의욕에 존립한다는 해결하기가 어려운 물음에 대한 통찰을 지도할 수 있다.”

그러나 비록 칸트 윤리학이 아무리 위대한 것이라 할지라도,

그 이론은 역시 몇 가지 한계를 갖고 있다.

회슬레는 특별히 환경 위기와 관련해서 칸트 윤리학이 세가지의 불충분점을 가지고 있고,

일정한 교정이 필요함을 말한다.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렌조 노바토레  (0) 2022.10.24
지그문트 바우만  (0) 2022.10.23
브뤼노 라투르  (0) 2022.10.18
오마르 하이얌  (0) 2022.10.13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0) 2022.1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