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데시데리위스 에라스뮈스

laura-tiki 2022. 10. 12. 20:51

에라스뮈스가 살았던 시대는 많은 지식인 서방교회 제도로 발생한 성직자의 권한 남용을 비판하던 때였다.

어떤 비평가들은 교황 중심주의의 폐해를 지적했고 새로운 신학 체계를 세웠다.

에라스뮈스도 동시대 주류 서방교회의 신앙과 부정, 관행을 비판하던 교회 개혁가 중 한 사람이다.

한편 그는 서방교회 전통인 자유의지(free will) 관념을 지지했다.

그래서 그는 종교개혁 사상 중 예정론을 지지하는 칼뱅주의자들과 마찰이 있었다. 

데시데리위스에라스뮈스는 일반적으로 에라스뮈스로 부르는데 네덜란드 태생의

로마 가톨릭교회 성직자이자 인문주의자이다. 

 

 

 

 

 

 

 

 

 

 

 

 

 

 

 

 

 

 

 

 

 

 

 

 

 

 

 

 

 

 

 

 

 

 

 

 

 

 

 

 

 

 

 

 

 

 

 

 

 

 

 

 

 

 

 

 

 

 

 

 

 

 

 

 

 

 

 

 

 

 

 

 

 

 

 

 

 

 

 

 

 

 

 

 

 

 

 

 

 

 

 

 

 

 

 

 

 

 

 

 

 

 

 

 

 

 

 

 

 

 

 

 

 

 

 

 

 

 

 

 

 

 

 

 

 

 

 

 

 

 

 

 

 

 

 

 

 

 

 

 

 

 

 

 

종교개혁 운동에 영향을 준 기독교 신학자이다. 에라스뮈스는 "인문주의자들의 왕자"라는 칭호를 누렸고,

순수한 라틴어 문체를 구사하는 고전적인 학자였다. "최고 영광의 기독교 인문주의자"로도 불렸다.

그는 헬라 그리스어의 신약성서를 라틴어로 새롭게 다시 번역했다.

이는 서방교회의 기독교 사상에 의문을 표시하면서 서방교회 종교개혁 

종교개혁 찬성파와 반대파가 천주교 개신교로 분리된 이후에

개혁 반대파였던 가톨릭 개혁에도 영향을 끼쳤다.

중립 노선은 마르틴 루터 같은 서방교회 개혁 찬성파인 종교개혁자들과

개혁 반대파인 '교황 주의자' 양쪽의 실망과 분노를 샀다. 

 

 

 

 

 

 

 

 

 

 

 

 

 

 

 

 

 

 

 

 

 

 

 

 

 

 

 

 

 

 

 

 

 

 

 

 

 

 

 

 

 

 

 

 

 

 

 

 

 

 

 

 

 

 

 

 

 

 

 

 

 

 

 

 

 

 

 

 

 

 

 

 

 

 

 

 

 

 

 

 

 

 

 

 

 

 

 

 

 

 

 

 

 

 

 

 

 

 

 

 

 

 

 

 

 

 

 

 

 

 

 

 

 

 

 

로마 교황청의 부정부패와 성직자의 권한 남용을 비판했지만,

에라스뮈스는 종교개혁의 찬성파인 개신교와 개혁 반대파인 로마 가톨릭교회 어느 한쪽으로 기울지 않았다.

서방교회 개혁 찬성파인 종교개혁가 마르틴 루터는 그를 경멸조로 조롱했고,

서방교회 개혁 반대 교황 주의자들의 트리엔트 공의회는 그를 ‘불경스러운 이교도’로 정죄했다.

이처럼 개신교와 로마 가톨릭 양쪽 교회들로부터 배척당했지만

에라스뮈스는 많은 당대 신학자들의 지지를 받으며 전 유럽에서 대단한 인기를 누렸다.

그럴 뿐만 아니라 서구 문학사에서 근대성의 효시로 여겨지는

프랑스의 라블레, 스페인의 세르반테스, 영국의 셰익스피어에게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그는 가톨릭 사제로서의 일을 오랫동안 적극적으로 할 생각은 없었던 것 같다.

그가 일생 꾸준히 교회의 부정부패에 대해 비판했고, 그 비판에는 수도원 제도에 대한 것도 포함됐기 때문이다.

사제서품을 받고 오래지 않아, 캉브레(Cambrai) 지역 주교 비서직을 받으면서,

그는 수도원 밖에서 지낼 기회를 잡았다. 그의 뛰어난 라틴어 실력과 지식인으로서의 명성 덕분이었다. 

주교의 비서로 일해야 하는 점과 건강상의 이유로 그는 사제의 의무에서 일시적으로 면제됐다.

이후 교황 레오 10세는 이 면제를 영구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이것은 당시에는 상당한 특권이었다.

 

 

 

 

 

 

 

 

 

 

 

 

 

 

 

 

 

 

 

 

 

 

 

 

 

 

 

 

 

 

 

 

 

 

 

 

 

 

 

 

 

 

 

 

 

 

 

 

 

 

 

 

 

 

 

 

 

 

 

 

 

 

 

 

 

 

 

 

 

 

 

 

 

 

 

 

 

 

 

 

 

 

 

 

 

 

 

 

 

 

 

 

 

 

 

 

 

 

 

 

 

에라스뮈스는 어느 한 장소에 정착하지 않고 주로 루뱅, 파리, 바젤, 영국에서 활동했다.

1495년 주교의 동의를 받아 생활비와 학비를 지원받으면서

그는 파리 대학의 몬터규 콜레주(Collège de Montaigu)에 유학했다.

그곳은 잔 스탄돈크(Jan Standonck)의 주도로 프랑스 교회 개혁 운동의 중심지였다.

이전에 파리 대학은 스콜라 철학으로 유명했지만 당시에는 이미 르네상스 인문주의 영향에 놓여 있었다.

루벤에 머물렀을 때 에라스무스는 금욕주의적인 학자와 성직자들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았다.

금욕주의자들은 문학 원리와 종교 개혁과 르네상스 인문주의자의 사고방식에 적대적이었다.

이러한 박해를 피해, 그는 바젤에 조용한 집을 구했다. 

 

 

 

 

 

 

 

 

 

 

 

 

 

 

 

 

 

 

 

 

 

 

 

 

 

 

 

 

 

 

 

 

 

 

 

 

 

 

 

 

 

 

 

 

 

 

 

 

 

 

 

 

 

 

 

 

 

 

 

 

 

 

 

 

 

 

 

 

 

 

 

 

 

 

 

 

 

 

 

 

 

 

 

 

 

 

 

 

 

 

 

 

 

 

 

 

 

 

 

 

 

 

 

 

 

 

 

 

 

 

 

 

 

 

 

 

 

 

 

 

 

 

 

 

 

 

 

 

 

 

 

 

 

 

 

 

 

 

 

스위스의 환대와 비호 덕분에 그는 자유롭게 자신의 견해를 표명할 수 있었다.

그래서 바젤에 비교적 오래 머물렀다. 이곳에서 유명한 출판업자였던

요한 프로벤(Johann Froben)과도 교류했다.

에라스무스가 본격적으로 루터를 비판하기로 결심했을 때 다룬 주된 논점은 인간의 자유 의지라는 문제였다.

에라스뮈스는 [자유 의지론](De libero arbitrio diatribe sive collatio)을 통해

인간에게 자유 의지가 없다고 본 루터의 견해를 비판했다.

이에 대한 반박으로 루터는 [노예의지론](On the Bondage of the Will)을 저술한다.

이 책에서 루터는 에라스뮈스가 기독교도가 아니라고까지 주장했다.

이에 대해 에라스뮈스는 [히페라스피스테스](Hyperaspistes)를 두 편에 걸쳐 쓰며 자신을 변호했다.

 

 

 

 

 

 

 

 

 

 

 

 

 

 

 

 

 

 

 

 

 

 

 

 

 

 

 

 

 

 

 

 

 

 

 

 

 

 

 

 

 

 

 

 

 

 

 

 

 

 

 

 

 

 

 

 

 

 

 

 

 

 

 

 

 

 

 

 

 

 

 

 

 

 

 

 

 

 

 

 

 

 

 

 

 

 

 

 

 

 

 

 

 

 

 

 

 

 

 

 

 

 

 

 

 

 

 

 

 

 

 

 

 

 

 

 

 

 

 

 

 

 

 

 

 

 

 

 

 

 

 

 

 

 

 

 

 

 

 

 

 

 

 

 

 

 

 

 

 

 

 

 

 

 

 

 

 

 

 

 

 

 

 

 

 

 

 

 

 

 

 

마르틴 루터는 [탁상담화]에서 에라스무스를 가리켜 "세상을 욕되게 한 자들 가운데 가장 사악한 자"라고 평가했다.

또 "그는 모무스(Momus,그리스 신화에 등장하는 조롱과 비난의 신)과 같아서,

하나님이든 사람이든, 교황 진영이든 개신교 진영이든 아무에게나 닥치는 대로 비판하고 조롱하지만,

교묘하고 이중적인 표현을 사용함으로써

아무도 자신의 속내를 정확하게 파악하지 못하게 은폐합니다."라고 비판했다.

 

 

 

 

 

 

 

 

 

 

 

 

 

 

 

 

 

 

 

 

 

 

 

 

 

 

 

 

 

 

 

 

 

 

 

 

 

 

 

 

 

 

 

 

 

 

 

 

 

 

 

 

 

 

 

 

 

 

 

 

 

 

 

 

 

 

 

 

 

 

 

 

 

 

 

 

 

 

 

 

 

 

 

 

 

 

 

 

 

 

 

 

 

 

 

 

 

 

 

 

 

 

 

 

 

 

 

 

 

 

 

 

 

 

 

 

 

 

 

 

 

 

 

 

 

 

 

 

 

 

 

 

 

 

 

 

 

 

 

 

 

 

 

 

 

 

에라스무스는 세계주의적 정신의 소유자, 근대 자유주의의 선구자로

유럽 문화에서 자유주의 전통을 형성하는 데 기여했다.

또한 기독교 복원을 위해 로마 가톨릭교회의 제도를 비판하고, 성서를 교정하며,

고대 그리스 학문과 예술을 적극 수용하여 경직된 사고방식을 시정하려 함으로써 

르네상스 시대 인문주의가 나아갈 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에라스무스는 16세기 종교개혁 논쟁의 소용돌이 속에서 극단을 지양하는 중용의 태도를 견지했다.

 

 

 

 

 

 

 

 

 

 

 

 

 

 

 

 

 

 

 

 

 

 

 

 

 

 

 

 

 

 

 

 

 

 

 

 

 

 

 

 

 

 

 

 

 

 

 

 

 

 

 

 

 

 

 

 

 

 

 

 

 

 

 

 

 

 

 

 

 

 

 

 

 

 

 

 

 

 

 

 

 

 

 

 

 

 

 

 

 

 

 

 

 

 

 

 

 

 

 

 

 

 

 

 

 

 

 

 

 

 

 

 

 

 

 

 

 

 

 

 

 

 

 

 

 

 

 

 

 

 

 

 

 

 

 

 

 

 

 

 

 

 

서방교회 개혁 반대파, 로마 가톨릭과 개혁 찬성파, 개신교 간의 대립은 누가 봐도 분명했기 때문에

아무도 두 세력 간의 논쟁에서 빠져나올 수 없었다.

에라스뮈스의 학문적 명성은 대단해서 서방교회의 종교개혁 반대파인

로마 가톨릭과 개혁 찬성파인 개신교 양 세력은 에라스무스를 끌어들이기 위해 도움을 요청했다.

그러나 에라스무스는 당파성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었다. 

성직자의 부정을 비판하면서도 그는 자신이 교회 제도 자체는 인정하며 성직자들에게 악의는 없다고 역설한다.

세상은 그의 풍자를 보고 비웃지만 그의 작업을 막지는 않았다.

그는 자신의 작품이 지식인과 교회 지도자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라 보았다.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브뤼노 라투르  (0) 2022.10.18
오마르 하이얌  (0) 2022.10.13
갈릴레오 갈릴레이  (0) 2022.10.11
사무엘 폰 푸펜도르프  (0) 2022.10.10
조지프 프리스틀리  (1) 2022.1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