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막스 슈티르너2

laura-tiki 2022. 9. 21. 20:54

슈티르너의 논의는 주로 동시대 인들을 향해 비판의 한계를 확장했다.

특히 포이어바흐, 종교, 자유주의,

인본주의(포이어바흐의 '인간은 인간에게 있어 최고의 존재다'라는 주장을

신이라 불렸던 것의 위치에 인간을 대입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 구조는 여전히 종교적이라고 비판하며), 민족주의, 국가주의, 자본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까지 당시 사상의 전 영역을 공격했다. 

슈티르너의 주저 유일 자와 그 소유는 1844년 10월 라이프치히에서 출간되었다.

"유일 자와 그 소유"에서 슈티르너는 반권위주의적이고 개인주의적 관점에서

프러시아 사회와 근대 서구 문명을 맹렬히 비판했다.

 

 

 

 

 

 

 

 

 

 

 

 

 

 

 

 

 

 

 

 

 

 

 

 

 

 

 

 

 

 

 

 

 

 

 

 

 

 

 

 

 

 

 

 

 

 

 

 

 

 

 

 

 

 

 

 

 

 

 

 

 

 

 

 

 

 

 

 

 

 

 

 

 

 

 

 

 

 

 

 

 

 

 

 

 

 

 

 

 

 

 

 

 

 

 

 

 

 

 

 

 

 

 

 

 

 

 

 

 

 

 

 

 

 

 

 

 

 

 

 

 

 

 

 

 

 

 

 

 

 

 

 

 

 

 

 

 

 

 

 

 

 

 

 

 

 

 

 

 

 

 

 

 

 

 

 

 

 

 

 

 

 

 

 

 

 

 

 

 

 

 

 

 

 

 

 

 

 

 

 

 

 

 

 

 

 

 

 

 

 

 

 

 

 

 

 

 

 

 

 

 

 

 

 

 

 

 

그는 인간의 존재를 언어와 현실을 넘어선 '창조하는 무'로서 여기는 접근 방식을 제공했다. 

그의 저서에 비판한 3인의 글들, 포이어바흐의 '기독교의 본질', M. 헤스의 '최후의 철학자들',

셀 리가의 'M. 슈티르너 유일 자와 그 소유'에 비판하기 위한 것이었는데

여기서 슈티르너는 그 자신을 삼인칭화 해서 설명한다. 

철학적 반동 '(The Philosophical Reactionaries)'는

1847년 오토 비간트가 편집하는 저널인 Die Epigone를 통해 라이프치히에서 발간되었다.

 

 

 

 

 

 

 

 

 

 

 

 

 

 

 

 

 

 

 

 

 

 

 

 

 

 

 

 

 

 

 

 

 

 

 

 

 

 

 

 

 

 

 

 

 

 

 

 

 

 

 

 

 

 

 

 

 

 

 

 

 

 

 

 

 

 

 

 

 

 

 

 

 

 

 

 

 

 

 

 

 

 

 

 

 

 

 

 

 

 

 

 

 

 

 

 

 

 

 

 

 

 

 

 

 

 

 

 

 

 

 

 

 

 

 

 

 

 

 

 

 

 

그 시점에서 비간트는 이미 유일 자와 그의 소유를 발간했고,

슈티르너가 번역한 애덤 스미스와 장 바스티세의 저작들까지 출간이 완료된 상태였다. 

케이는 이 글이 슈티르너가 피셔의 유 일자 비판을 반박하는 것으로 간주하고

G. Edward와 슈티르너를 동일인으로 식별했다.

글은 ‘Ein Apologete der Sophistik und “ein Philosophischer Reactionäre”

제목과 Die Philosophischen Reactionäre라는 제목으로도 출간되었다.

 

 

 

 

 

 

 

 

 

 

 

 

 

 

 

 

 

 

 

 

 

 

 

 

 

 

 

 

 

 

 

 

 

 

 

 

 

 

 

 

 

 

 

 

 

 

 

 

 

 

 

 

 

 

 

 

 

 

 

 

 

 

 

 

 

 

 

 

 

 

 

 

 

 

 

 

 

 

 

 

 

 

 

 

 

 

 

 

 

 

 

 

 

 

 

 

 

 

 

 

 

 

 

 

 

 

 

 

 

 

 

 

 

 

더욱이 이상한 것은 비간트가 인적 사항을 거짓으로 기입했던 Edward의 글을 연이어 출간 했던 것이다.

그리고 맥케이가 주장했듯이 슈티르너가 이에 대해 부정한 적은없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시시한 근거가 슈티르너를 작가로서 인식 되게 할만큼 적당한가라는 문제를 남긴다.

이러한 정황증거들로 인하여 몇몇의 학자들이 Die Philosophischen Reactionäre의

내용과 스타일을 기반으로 의심을 제기하게 된다. 그러나 확실이 집고 넘어가야할 것은

이것은 유일자가 작성되고 3년 뒤, 청년헤겔학파가 시들어버리고난 뒤에 쓰여졌다는 것이다. 

 

 

 

 

 

 

 

 

 

 

 

 

 

 

 

 

 

 

 

 

 

 

 

 

 

 

 

 

 

 

 

 

 

 

 

 

 

 

 

 

 

 

 

 

 

 

 

 

 

 

 

 

 

 

 

 

 

 

 

 

 

 

 

 

 

 

 

 

 

 

 

 

 

 

 

 

 

 

 

 

 

 

 

 

 

 

 

 

 

 

 

 

 

 

 

 

 

 

 

 

 

 

 

 

 

 

 

 

 

 

 

 

 

 

 

 

 

 

 

 

 

 

 

 

 

 

 

 

 

 

 

 

 

 

 

 

 

 

 

 

 

 

 

 

 

슈티르너는 스스로 그에 책에 대하여, 어느정도는 그가 바라는 것에 대하여 서투른 표현을 했다고 묘사했다.

이것은 인생 최고의 순간에서의 고된 작업이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는 이것을 부분적으로 서툴다고 불렀다.

그는 철학자들에 의해 파괴되고, 국가와 종교, 신자들에 의해 학대되었어며,

관념이 자행하는 혼돈으로부터 폐허가 되어버린 언어와 사투를 벌여야 했다.  

슈티르너가 수집하여 번역한 글들의 컬렉션이었다.

 

 

 

 

 

 

 

 

 

 

 

 

 

 

 

 

 

 

 

 

 

 

 

 

 

 

 

 

 

 

 

 

 

 

 

 

 

 

 

 

 

 

 

 

 

 

 

 

 

 

 

 

 

 

 

 

 

 

 

 

 

 

 

 

 

 

 

 

 

 

 

 

 

 

 

 

 

 

 

 

 

 

 

 

 

 

 

 

 

 

 

 

 

 

 

 

 

 

 

 

 

 

 

 

 

 

 

 

 

 

 

 

 

 

 

 

 

 

 

 

 

 

 

 

 

 

 

 

 

 

 

 

 

 

 

 

 

서문과 몇몇 부분은 슈티르너가 직접 작성한 글이였는데 

에드먼드 버크 오귀스트 콩트를 혁명에 반하는 두 인물로서 인용한다. 

슈티르너는 그의 악명높은 글, '유일자와 그 소유'에서 모든 도덕 관념을 부정하기까지 했다.

모든 것이 어떤 방식으로든 간에 부정되었다. 외부적 힘,

믿은 혹은 단지 관념 마져도 사람의 위에서 그의 변덕을 억누르는 것으로 간주 되었다.

슈티르너의 부정이란 그의 증오의 한계와 같은 것이었다.

 

 

 

 

 

 

 

 

 

 

 

 

 

 

 

 

 

 

 

 

 

 

 

 

 

 

 

 

 

 

 

 

 

 

 

 

 

 

 

 

 

 

 

 

 

 

 

 

 

 

 

 

 

 

 

 

 

 

 

 

 

 

 

 

 

 

 

 

 

 

 

 

 

 

 

 

 

 

 

 

 

 

 

 

 

 

 

 

 

 

 

 

 

 

 

 

 

 

 

 

 

 

 

 

 

 

 

 

 

 

 

 

 

 

 

 

 

 

 

 

 

 

 

 

 

 

 

 

 

 

 

 

 

 

 

 

 

긍정적인 두번째 부분이 추가 되지 못한 얼마나 가련한 책인가.

그랬다면 이것은 셸링의 철학의 경우보단 쉬웠을 겄이다.

제약 없는 자아를 해방해서 모든 종류의 이상주의를 나의 의지와

나의 이상으로서 계속해서 낳을 수 있었을 것이다.

슈티르너는 의지에 너무나 많은 고통을 주었을 뿐만 아니라,

이것을 인간 본성적 힘의 원천 이듯이 그려냈다. 이것은 우리에게 쇼펜하우어를 떠올리게 한다. 

그는 죽을때까지 서서히 잊혀져가는 인물이었다.

 

 

 

 

 

 

 

 

 

 

 

 

 

 

 

 

 

 

 

 

 

 

 

 

 

 

 

 

 

 

 

 

 

 

 

 

 

 

 

 

 

 

 

 

 

 

 

 

 

 

 

 

 

 

 

 

 

 

 

 

 

 

 

 

 

 

 

 

 

 

 

 

 

 

 

 

 

 

 

 

 

 

 

 

 

 

 

 

 

 

 

 

 

 

 

 

 

 

 

 

 

 

 

 

 

 

 

 

 

 

 

 

 

 

 

 

 

 

 

 

 

 

 

 

 

 

 

 

 

 

 

 

 

 

 

 

 

 

 

 

 

 

 

 

 

 

 

 

 

 

 

 

 

 

 

 

 

 

 

 

 

 

 

 

 

 

 

 

 

 

 

 

 

 

 

 

 

 

 

 

 

 

 

 

 

 

 

 

 

 

 

 

 

 

 

 

 

 

 

 

 

 

 

 

 

 

 

 

 

 

 

 

 

 

 

 

 

 

 

 

 

 

 

 

 

 

 

 

 

 

 

 

 

 

 

 

 

 

 

슈티르너는 헤겔좌파에 파멸적인 영향을 끼치지만 그의 철학은 맑스에게 중요한 영향을 끼쳤고,

그의 철학은 '유럽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의 기초를 정립한 것으로 평가 된다.

에드문트 후설 한번 소규모 청중들에게 유일자의 '매혹적인 힘'에 대하여 언급했다.

미술 평론가이자 슈티르너주의자인 하버트 리드는 그의 저서는

유럽 문명이 최초로 등장한 이래 모래 주머니안에 갇혀 남아있다고 언급했다. 

 

 

 

 

 

 

 

 

 

 

 

 

 

 

 

 

 

 

 

 

 

 

 

 

 

 

 

 

 

 

 

 

 

 

 

 

 

 

 

 

 

 

 

 

 

 

 

 

 

 

 

 

 

 

 

 

 

 

 

 

 

 

 

 

 

 

 

 

 

 

 

 

 

 

 

 

 

 

 

 

 

 

 

 

 

 

 

 

 

 

 

 

 

 

 

 

 

 

 

 

 

 

 

 

 

 

 

 

 

 

 

 

 

 

 

 

 

 

 

 

 

 

 

 

 

 

 

 

 

 

 

 

 

 

 

 

 

 

 

 

 

 

 

 

 

 

 

 

 

 

 

 

 

 

 

 

 

 

 

 

 

 

 

 

 

 

 

 

 

 

 

 

 

 

 

 

 

 

 

 

 

 

 

 

 

 

 

 

 

 

 

 

 

 

 

 

 

 

 

 

 

 

 

 

 

 

 

 

 

 

 

영향력있는 포스트 구조주의 사상가인 쟈크 데리다는

그의 글 '마르크스의 유령들'에서 맑스와 슈티르너의 관계에 대하여 다루었고

슈티르너의 개념인 망령(specters)과 유령(spooks) 등을 분석했다. 

포스트구조주의의 또다른 주요한 사상가인 질 들뢰즈는 그의 저서인 '감각의 논리'에서 슈티르너를 언급했다.

사울뉴먼은 슈티르너는 최초의 포스트 아나키스트라 칭했다. 

슈티르너의 철학은 근대 아나키즘 특히 개인주의적 아나키즘과,

에고이스트적 아나키즘의 발전에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그의 아나키즘은 개인주의적 아나키즘이지만 사회적 아나키스트인 엠마 골드만 

그리고 페데리카 몬세니를 비롯한 많은 사회적 아나키스트들에게도 영감을 주었다. 

만일 슈티르너가 말했다면: 너는 살아있는 본질이나 동물 이상이다.

이것은 너는 여전히 동물이라는 것이지만,

그 동물성은 네가 누구인지 완전히 표현하지 못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그는 말한다. "너는 인간 이상의 존재지만, 또한 인간이기도 하다.

 

 

 

 

 

 

 

 

 

 

 

 

 

 

 

 

 

 

 

 

 

 

 

 

 

 

 

 

 

 

 

 

 

 

 

 

 

 

 

 

 

 

 

 

 

 

 

 

 

 

 

 

 

 

 

 

 

 

 

 

 

 

 

 

 

 

 

 

 

 

 

 

 

 

 

 

 

 

 

 

 

 

 

 

 

 

 

 

 

 

 

 

 

 

 

 

 

 

 

 

 

 

 

 

 

 

 

 

 

 

 

 

 

 

 

 

 

 

 

 

 

 

 

 

 

 

 

 

 

 

 

 

 

 

 

 

 

 

 

 

 

 

 

 

 

 

 

 

 

 

 

 

 

 

 

 

 

 

 

 

 

 

 

 

 

 

 

 

 

 

 

 

너는 남성 이상의 존재지만, 또한 남성이기도 하다.

그러나 그 인간성과 남성성은 너를 완전히 표현하지 못한다.

그러니 너는 너를 '진정한 인간성'이나 '진정한 남성성'으로 묶어두고자 하는 모든 것들에 무관심할 수 있다.

그러나 너는 이로 인해 언제나 고문을 당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식적인 의무로서 너 자신을 괴롭혀왔다.

여전히 오늘날에도 거룩한 인민은 너를 그들과 함께 묶어두고자 한다." -막스 슈티르너, Stirner’s Critics(1845)-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리드리히 엥겔스  (0) 2022.09.23
하버트 스펜서  (0) 2022.09.22
막스 슈티르너  (0) 2022.09.20
존 러 스킨  (0) 2022.09.19
W. E. B. 듀보이스  (0) 2022.09.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