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문학

알랭 바디우

laura-tiki 2022. 8. 3. 21:56

프랑스 철학계에서 바디우는 공산주의자의 입장에서 자본주의를 혹독하게 비판하는 대표적인 인물로 널리 알려져 있으며, 동시에 서구식 민주주의 미국과 영국을 포함한 서방권이 일반적인 민주주의라고 여기는 것의 기만성을 숨기고 있는 ‘민주주의 신화’의 실상을 폭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1937년 모로코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인 레몽 바디우는 수학자였고, 제2차 세계 대전 당시에 프랑스 레지스탕스로 활약하였다. 그는 어릴 때부터 사회 참여에 관심을 가졌으며, 이 과정에서 장 폴 사르트르를 추종한 영향으로 프랑스 실존주의의 영향을 받았다. 그러나, 알제리 독립에 대해서 모호한 입장을 가지고 있던 사르트르에 회의를 느꼈고 이내 그의 사상과 결별하였다.

 

 

 

 

 

 

 

 

 

 

 

 

 

 

 

 

 

 

 

 

 

 

 

 

 

 

 

 

 

 

 

 

 

 

 

 

 

 

 

 

 

 

 

 

 

 

 

 

 

 

 

 

 

 

 

 

 

 

 

 

 

 

 

 

 

 

 

 

 

 

 

 

 

 

 

 

 

 

 

 

 

 

 

 

 

 

 

 

 

 

 

 

 

 

 

 

 

 

 

 

알랭 바디우 모로코에서 태어난 프랑스 범 마르크스주의 철학자이다. 현재는 현대 프랑스 철학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반플라톤주의와 포스트모더니즘에 대응하는 신플라톤주의 합리주의의 수호자라는 평가받고 있다.

 

 

 

 

 

 

 

 

 

 

 

 

 

 

 

 

 

 

 

 

 

 

 

 

 

 

 

 

 

 

 

 

 

 

 

 

 

 

 

 

 

 

 

 

 

 

 

 

 

 

 

 

 

 

 

 

 

 

 

 

 

 

 

 

 

 

 

 

 

 

 

 

 

 

 

 

 

 

 

 

 

 

 

 

 

 

 

 

 

 

 

 

 

 

 

 

 

 

 

 

 

 

 

 

 

 

 

 

 

 

 

 

 

 

 

 

 

 

 

 

 

 

 

 

 

 

 

 

 

 

 

 

 

 

 

 

 

 

 

 

 

 

 

 

 

 

 

 

 

 

 

 

 

 

 

 

 

 

 

바디우는 공산주의 활동가이며, 과거 소비에트 연방 및 현존하는 아시아의 공산국가에 대해서는 비판적 지지의 입장을 갖고 있다. 그는 기존의 마르크스-레닌주의 및 마오쩌둥 사상을 교조적으로 따르지 않으며, 앞서 나열한 이념의 구시대 성을 비판한 동시에 새롭게 재정립을 시도한 대표적인 학자이다.

 

 

 

 

 

 

 

 

 

 

 

 

 

 

 

 

 

 

 

 

 

 

 

 

 

 

 

 

 

 

 

 

 

 

 

 

 

 

 

 

 

 

 

 

 

 

 

 

 

 

 

 

 

 

 

 

 

 

 

 

 

 

 

 

 

 

 

 

 

 

 

 

 

 

 

 

 

 

 

 

 

 

 

 

 

 

 

 

 

바디우는 이런 의미에서 자신을 ‘포스트 레닌-마오주의자’라고 일컫는다. 알랭 바디우가 주장하는 진리 논의는 기존 플라톤주의 철학에서 말하는 진리의 그것과 흡사하다. 그러나 바디우는 과거 합리주의자들이 진리 자체를 완전히 정적인 것으로 간주했던 것을 비판한다.

 

 

 

 

 

 

 

 

 

 

 

 

 

 

 

 

 

 

 

 

 

 

 

 

 

 

 

 

 

 

 

 

 

 

 

 

 

 

 

 

 

 

 

 

 

 

 

 

 

 

 

 

 

 

 

 

 

 

 

 

 

 

 

 

 

 

 

 

 

 

 

 

 

 

 

 

 

 

 

 

 

 

 

 

바디우가 보기에 진리 추구는 ‘진리를 검증하는 절차’만으로 인식할 수 있다. 물론 바디우는 진리가 ‘확정적이면서 정지한 것’이라는 표현에 대해 큰 비판을 하지 않는다. 그는 앞선 표현이 진리의 작용이 불변한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 표현이라고 간주한다.

 

 

 

 

 

 

 

 

 

 

 

 

 

 

 

 

 

 

 

 

 

 

 

 

 

 

 

 

 

 

 

 

 

 

 

 

 

 

 

 

 

 

 

 

 

 

 

 

 

 

 

 

 

 

 

 

 

 

 

 

 

 

 

 

 

 

 

 

 

 

 

 

 

 

 

 

 

 

 

 

 

 

 

 

 

 

 

 

 

 

 

 

 

 

 

 

 

 

 

 

 

 

 

 

 

 

 

 

 

봉합은 진리 검증을 정치·과학·예술·사랑의 영역 중 몇 가지 영역에 한정하는 것을 뜻한다. 예를 들어 영미철학의 기호논리학은 진리 검증을 과학의 영역에 종속하였는데, 사실은 과학의 영역에서도 부분적인 곳에 속하는 언어의 영역에 그 검증 절차를 봉합하였다.

 

 

 

 

 

 

 

 

 

 

 

 

 

 

 

 

 

 

 

 

 

 

 

 

 

 

 

 

 

 

 

 

 

 

 

 

 

 

 

 

 

 

 

 

 

 

 

 

 

 

 

 

 

 

 

 

 

 

 

 

 

 

 

 

 

 

 

 

 

 

 

 

 

 

 

 

 

 

 

 

 

 

 

 

 

 

 

 

 

 

 

 

 

 

 

 

 

 

 

 

 

 

 

 

 

 

 

 

 

 

 

 

 

 

 

 

 

 

 

 

 

 

 

 

 

 

 

 

 

 

 

 

 

 

 

 

 

 

 

 

 

 

 

 

 

 

 

 

 

 

 

 

 

 

 

 

 

 

 

 

 

 

 

 

 

 

 

 

 

 

 

 

 

 

 

 

 

 

 

 

 

 

 

 

 

 

 

 

 

 

 

 

 

 

 

 

 

 

 

 

 

 

 

 

 

 

 

 

 

 

 

 

 

 

 

 

 

 

 

 

 

 

 

 

 

 

 

 

 

 

 

 

 

 

 

 

 

 

 

 

 

 

 

 

 

 

 

 

 

 

 

 

 

 

 

 

 

 

 

 

 

 

 

 

 

 

 

 

 

 

 

 

 

 

 

 

 

 

 

 

 

 

 

 

 

 

 

 

 

 

 

 

 

 

 

 

 

 

 

 

 

 

 

 

 

 

 

 

 

 

 

 

 

 

또한 이오시프 스탈린의 변증법적 유물론은 진리 검증을 정치와 과학의 영역에 봉합하였다. 이러한 봉합은 진리 검증 절차에서 네 가지 영역을 유동적으로 이용하는 데에 걸림돌이 된다. 철학은 당면 목표는 바로 탈봉합(Desuture)에 있다. 그의 존재론에 따르면, 진리는 항상 현상과 절대를 넘나들며 진행한다. 따라서 인간이 행하는 진리 추구에서 볼 수 있는 진리는 오로지 ‘(그것의)진리의 진행’이며, 이것이 곧 진리이다.  

 

 

 

 

 

 

 

 

 

 

 

 

 

 

 

 

 

 

 

 

 

 

 

 

 

 

 

 

 

 

 

 

 

 

 

 

 

 

 

 

 

 

 

 

 

 

 

 

 

 

 

 

 

 

 

 

 

 

 

 

 

 

 

 

 

 

 

 

 

 

 

 

 

 

 

 

 

 

 

 

 

 

 

 

 

 

 

 

 

 

 

 

 

 

 

 

 

 

 

 

 

 

바디우가 보기에 진리는 특정 영역에서 단적으로 드러나는 것이 아닌, 여러 가지 영역의 현상적 차원에서 부분적으로 도출되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현상 단면을 이용하여 진리를 도출하는 작업을 철학이라고 정의한다. 바디우는 진리를 검증하는 네 가지 과정으로서 정치·과학·예술·사랑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진리 검증은 이 네 가지 영역에서 도출되는 단면을 추상적으로 연결하여 진행되는 것이다. 진리에 대해 ‘정지한 물체’ 또는 ‘고정적이고 확정된 형태’라고 이해한 자들은 진리 검증을 특정 영역에 봉합(Suture)하여 그것의 논의 과정을 극단적으로 축소한다. 

 

 

 

 

 

 

 

 

 

 

 

 

 

 

 

 

 

 

 

 

 

 

 

 

 

 

 

 

 

 

 

 

 

 

 

 

 

 

 

 

 

 

 

 

 

 

 

 

 

 

 

 

 

 

 

 

 

 

 

 

 

 

 

 

 

 

 

 

 

 

 

 

 

 

 

 

 

 

 

 

 

 

 

 

 

 

 

 

 

특정 영역에서 진리 진행을 사색하는 것을 ‘진리 생산의 절차’라고 칭한다. 예를 들어, 예술 영역은 특정한 공간성을 지닌 영역으로, 부분적인 통일성을 자체적으로 갖추고 있다. 이러한 불완전한 통일성이 허용하는 선에서의 진리 진행을 추출할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을 진리 생산의 절차라고 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봉합에 대한 비판을 가한 바디우 입장에서 결국은 온전한 진리 진행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한 영역에만 머물러서는 안 된다. 알랭 바디우의 사상을 관통하는 주요 개념은 존재론, 칸토어 집합론,  정합주의, 공산주의이다.

 

 

 

 

 

 

 

 

 

 

 

 

 

 

 

 

 

 

 

 

 

 

 

 

 

 

 

 

 

 

 

 

 

 

 

 

 

 

 

 

 

 

 

 

 

 

 

 

 

 

 

 

 

 

 

 

 

 

 

 

 

 

 

 

 

 

 

 

 

 

 

 

 

 

 

 

 

 

 

 

 

 

 

 

그의 역작인 『존재와 사건』은 그가 현재까지 갖고 있는 이념 체계를 이해하는 데에 가장 중요한 저서이다. 바디우는 프랑스 철학을 지배하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반(反)진리주의와 영미권의 분석철학(『비트겐슈타인의 반철학』을 통해), 자본주의, 자유주의, 공동체주의의 기만성, 허구성을 비판하고, 인간의 이성을 메타수학적 함의와 존재론을 통해 부활시켜 사회주의/공산주의 혁명에 강력한 정당성을 부여하고 있다.

 

 

 

 

 

 

 

 

 

 

 

 

 

 

 

 

 

 

 

 

 

 

 

 

 

 

 

 

 

 

 

 

 

 

 

 

 

 

 

 

 

 

 

 

 

 

 

 

 

 

 

 

 

 

 

 

 

 

 

 

 

 

 

 

 

 

 

 

 

 

 

 

 

 

 

 

 

 

 

 

 

 

 

 

 

 

 

 

 

 

 

 

 

 

 

 

 

 

 

 

 

 

 

 

 

 

 

 

 

 

 

 

 

 

 

 

 

 

 

 

 

 

 

 

 

 

 

 

 

 

 

 

 

 

 

 

 

 

 

 

 

 

 

 

 

그의 이론은 프랑스 극좌 사상의 새로운 흐름이라고 일컬어진다. 1958년 프랑스의 식민주의에 반대한 연합사회당 설립에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당시 연합사회당은 프랑스 정부의 알제리 민족 해방 운동 탄압을 방관하고 있던 프랑스 공산당 및 노골적인 식민주의 협조를 꾀하고 있던 기회주의 정당인  노동자 인터내셔널 프랑스 지부에 반대하고 있었으나, 당원 다수는 공산당과 노동자 인터내셔널 둘 중 하나에 연을 두고 있었다. 여기서 바디우는 알제리의 독립을 강력하게 주장·옹호하였고, 프랑스 식민주의를 비판하였다.

 

 

 

 

 

 

 

 

 

 

 

 

 

 

 

 

 

 

 

 

 

 

 

 

 

 

 

 

 

 

 

 

 

 

 

 

 

 

 

 

 

 

 

 

 

 

 

 

 

 

 

 

 

 

 

 

 

 

 

 

 

 

 

그는 당내에서 급진파로 통하였으며, 알제리 독립 전쟁 기간에 프랑스의 알제리 추가 파병에 열정적으로 반대하였다. 철학적으로도 바디우는 프랑스 주류 철학과 다르다. 이는 그의 선배 교수였던 질 들뢰즈와의 사상적인 대립으로 잘 나타난다.

 

 

 

 

 

 

 

 

 

 

 

 

 

 

 

 

 

 

 

 

 

 

 

 

 

 

 

 

 

 

 

 

 

 

 

 

 

 

 

 

 

 

 

 

 

 

 

 

 

 

 

 

 

 

 

 

 

 

 

 

 

 

 

 

 

 

 

 

 

 

 

 

 

 

 

 

 

 

 

 

 

 

 

 

 

 

 

 

 

 

 

 

 

 

 

 

 

 

 

 

 

 

 

 

 

 

 

 

 

 

 

 

 

 

 

 

 

 

 

 

 

 

 

 

 

 

 

 

 

 

 

 

 

 

 

 

 

 

 

 

 

 

 

 

 

 

 

 

 

 

 

 

 

 

 

 

 

 

 

 

 

 

 

 

 

 

 

 

 

 

 

 

 

 

 

 

 

 

 

 

 

 

 

 

 

 

 

 

 

 

 

 

 

바디우의 업적은 크게 진리 검증 이론과 주체 이론이라는 두 가지 영역으로 나눠져 있으며, 이 두 주제를 통해 그는 변증법적 유물론의 핵심이 되는 존재론을 수호한다. 바디우는 스스로를 공산주의자라고 평가하며, 존재론의 수호가 공산주의 부활의 필수 요건이라는 것을 강조한다.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레드릭 제임슨  (0) 2022.08.07
노엄 촘스키  (0) 2022.08.05
한스게오르크 가다머  (0) 2022.07.30
카를 야스퍼스  (0) 2022.07.29
롤랑 제라르 바르트  (0) 2022.07.27